

청년의 의견을 서울시 행정에 반영시킬 수 있는 기회!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가 올해도 멤버를 모집합니다!
청년정책네트워크(청정텟)이란?
https://youth.seoul.go.kr/site/main/content/policy_net_intro

과거에는 니트 지원 분과회, 마음건강지원 분과회가 진행되었었고,
2019년에는 실제로 이 청정넷에서 '은둔형외톨이 지원정책'을 제출하고
청년의회에서 채택한 것으로 실제로 그 다음 해에
서울시 사업으로 은둔형외톨이 지원사업이 진행되게 된 성과가 있었습니다.
올해도 분과 설명에 고립청년 지원과 은둔형 외톨이가 포함되어 있네요.
활동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신청해보세요 ^^
~~~~~~~~~~~~~~~~~~~~~~~~~~~~~~~~~~~~
서울특별시 공고 제2023-298호
「서울특별시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 조례」에 따라 청년의 능동적인 시정참여 기회를 보장하고
청년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2023년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위원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2023. 2. 6.
서 울 특 별 시 장
□ 모집개요
ㅇ 신청기간: 2023. 2. 6.(월) ~ 3. 5.(일)
ㅇ 신청대상: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만 19~39세 청년 누구나
ㅇ 신청방법: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ㅇ 위촉기준: 시정참여 기본 및 심화 교육 이수한 자
ㅇ 위촉규모: 500명 이내
※「서울특별시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 조례」제9조(청년참여기구의 구성)에 기준함
ㅇ 활동기간: 2023. 4. 1. ~ 2023. 12. 31.
ㅇ 주요활동
- 분과 토론 과정을 통한 정책제안 및 모니터링
- 제도 개선을 위한 공론장 등의 캠페인 기획
ㅇ 분과구성
- 기후/환경, 문화/예술, 사회안전망, 일자리/창업, 주거, 평등/인권
ㅇ 활동혜택
- 자원봉사 시간 인정
- 위원 위촉장 및 활동증명서 발급
- 활동 우수참여자 시장표창 수여
ㅇ 유의사항
- 신청 이후 기본 및 심화 교육을 이수하여야 위원으로 위촉 가능
※ 교육 진행 일정은 모집 종료 이후 3월 중 진행 예정, 추후 공지
- 과거에 위원으로 활동하다 해촉된 경험이 있는 경우 위촉 불가
□ 분과
분과명 | | 분과 설명 | | 관련 市 실·국·본부 |
| | | | |
기후/환경 | | # 기후위기 및 변화 대응 # 쓰레기 없는 도시 # 제로웨이스트 # 일회용품 줄이기 #도시환경 개선 #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서울 # 전기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 # 자전거 활성화 # 자원 재순환 # 도시농업 # 에너지 대책 # 녹지, 공원 등 근린환경 # 탄소중립 # 그린뉴딜 # 걷고 싶은 도시 # 길거리 흡연 # 동물권·동물복지 # 공유자원 # 환경교육 # 채식 선택권 보장 #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 기타 | | 기후환경본부, 도시교통실, 한강사업본부, 시민건강국, 푸른도시여가국, 물순환안전국 등 |
| | | | |
문화/예술 | | # 문화향유권 # (청년)예술인 권리보장 # 예술지원제도 개선 # 문화예술계 성·위계폭력 문제 # 코로나19 이후 청년예술(인) # 지역문화 활성화 # 문화 사각지대 해소 # 문화예술 공간 확대 # 예술노동 # 문화도시 # 문화산업 육성·지원 #과학기술-문화예술융합 # 대중문화예술 # 체육계개선·진흥 # 디자인/콘텐츠 # 관광자원 활성화 # 기타 | | 문화본부, 기후환경본부, 관광체육국, 디자인정책관, 시립미술관, 경제정책실, 도시계획국 등 |
| | | | |
사회 안전망 | | # 사회복지 서비스 개선 # 기초생활 보장제도 # 복지 # 인구 사각지대 # 코로나 블루 대책 # 청년 부채 경감 # 1인 가구 중심의 복지체계 # 청년마음·신체건강 지원 # 탈가정청년 # 고립청년지원 # 돌봄 # 혼자가 아닌 커뮤니티 및 공동체 # 자립준비청년 # 은둔형 외톨이 # 학자금 지원 제도 # 함께 하는 보육 및 육아 # 청년 빈곤 및 소득감소 # 청년자산형성 지원 # 장애이동권·접근성 강화 # 가정·성·학교폭력 피해자 지원대책 # 2030 자살률 증가 대책 # 다문화 등 소외계층 #영케어러 # 기타 | | 복지정책실, 여성가족정책실, 시민건강국, 평생교육국, 미래청년기획단, 관광체육국 등 |
| | | | |
일자리/창업 | | # 코로나19로 인한 실업 # 진로 및 직업교육 # 구직자 지원 방안 # 청년고용 서비스 # 쪼개기 근로계약 # 불법 포괄임금제 # 직장갑질, 직장 내 괴롭힘 등 조직문화 개선 # 노동권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 # 불안정 노동 완화 # 청년 자영업 및 소상공인 지원 # 청년 창업 활성화 # 산업재해 예방 # 공공일자리 # 고용양극화 등 청년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 지역균형발전 # 노동건강권 # 프리랜서 및 특수고용노동자 # 기타 | | 경제정책실, 미래청년기획단, 노동공정 상생정책관, 여성가족정책실 등 |
| | | | |
주거 | | # 주거비 부담 완화 # 지·옥·고(반지하,옥탑방,고시원) 등 최저주거기준 미달 # 1인 가구 주거기준 개선 # 월세지원 # 주거비지원 # 청년 주거 커뮤니티 강화 # 청년임대주택 # 주거환경 개선 # 주거급여 # (청년)전세자금대출 제도개선 # 오피스텔 관리비 등 # 임대차 분쟁해소 # 전세사기 # 보증금지키기 # 주거복지 # 우리동네_지역_커뮤니티 # 사회주택 #기타 | | 주택정책실, 미래청년기획단, 여성가족정책실, 도시계획국 등 |
| | | | |
평등/인권 | | # 다양성의 보장 # 공동체 내 성/위계 폭력 # 가족구성권 # 인구 # 사회적 차별 # 장애인 권리 보장 # 시민권 # 장애이동권 # 접근성 조성 및 개선 # 다문화 청년 지원 # 디지털 성폭력 # 포괄적 성교육 # 아동, 노인, 여성이 안전한 서울 # 사회적 약자 인식·제도 개선 # 성평등 교육 # 포괄적 차별금지를 위한 제도 마련 # 기타 | | 복지정책실, 여성가족정책실, 노동공정 상생정책관, 인권담당관, 도시교통실 등 |
□ 연간활동
| 2023년 서울청정넷 모집 | ⇒ | 시정참여 기본 및 심화교육 | ⇒ | 위원 위촉 및 발대식 | ⇒ | 의제 발굴, 정책제안서 작성 | ⇒ | 전문가 정책 자문 및 정책간담회 |
캠페인 기획 | 캠페인 개최 |
2월 | 3월 | 4월 | 5월 | 6~7월 |
| | | | | | | | | |
⇒ | 부서별의견검토 예산 협의·조정 | ⇒ | 청년자율예산 대시민투표 | ⇒ | 서울청년 시민회의 (총회) | ⇒ | 정책 모니터링 | ⇒ | 사업 결과보고 |
캠페인 개최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 | | | | | | |
ㅇ 문 의: 서울특별시 미래청년기획단 ☎ 02-2133-4324
▷청정넷 바로가기: https://youth.seoul.go.kr/site/youthnet/
청년의 의견을 서울시 행정에 반영시킬 수 있는 기회!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가 올해도 멤버를 모집합니다!
청년정책네트워크(청정텟)이란?
https://youth.seoul.go.kr/site/main/content/policy_net_intro
과거에는 니트 지원 분과회, 마음건강지원 분과회가 진행되었었고,
2019년에는 실제로 이 청정넷에서 '은둔형외톨이 지원정책'을 제출하고
청년의회에서 채택한 것으로 실제로 그 다음 해에
서울시 사업으로 은둔형외톨이 지원사업이 진행되게 된 성과가 있었습니다.
올해도 분과 설명에 고립청년 지원과 은둔형 외톨이가 포함되어 있네요.
활동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신청해보세요 ^^
~~~~~~~~~~~~~~~~~~~~~~~~~~~~~~~~~~~~
서울특별시 공고 제2023-298호
2023년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모집 공고
「서울특별시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 조례」에 따라 청년의 능동적인 시정참여 기회를 보장하고
청년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2023년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위원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2023. 2. 6.
서 울 특 별 시 장
□ 모집개요
ㅇ 신청기간: 2023. 2. 6.(월) ~ 3. 5.(일)
ㅇ 신청대상: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만 19~39세 청년 누구나
ㅇ 신청방법: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ㅇ 위촉기준: 시정참여 기본 및 심화 교육 이수한 자
ㅇ 위촉규모: 500명 이내
※「서울특별시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 조례」제9조(청년참여기구의 구성)에 기준함
ㅇ 활동기간: 2023. 4. 1. ~ 2023. 12. 31.
ㅇ 주요활동
- 분과 토론 과정을 통한 정책제안 및 모니터링
- 제도 개선을 위한 공론장 등의 캠페인 기획
ㅇ 분과구성
- 기후/환경, 문화/예술, 사회안전망, 일자리/창업, 주거, 평등/인권
ㅇ 활동혜택
- 자원봉사 시간 인정
- 위원 위촉장 및 활동증명서 발급
- 활동 우수참여자 시장표창 수여
ㅇ 유의사항
- 신청 이후 기본 및 심화 교육을 이수하여야 위원으로 위촉 가능
※ 교육 진행 일정은 모집 종료 이후 3월 중 진행 예정, 추후 공지
- 과거에 위원으로 활동하다 해촉된 경험이 있는 경우 위촉 불가
□ 분과
분과명
분과 설명
관련 市
실·국·본부
기후/환경
# 기후위기 및 변화 대응 # 쓰레기 없는 도시 # 제로웨이스트
# 일회용품 줄이기 #도시환경 개선 #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서울 # 전기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 # 자전거 활성화 # 자원 재순환
# 도시농업 # 에너지 대책 # 녹지, 공원 등 근린환경 # 탄소중립 # 그린뉴딜 # 걷고 싶은 도시 # 길거리 흡연 # 동물권·동물복지 # 공유자원 # 환경교육 # 채식 선택권 보장 #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 기타
기후환경본부,
도시교통실,
한강사업본부,
시민건강국,
푸른도시여가국,
물순환안전국 등
문화/예술
# 문화향유권 # (청년)예술인 권리보장 # 예술지원제도 개선
# 문화예술계 성·위계폭력 문제 # 코로나19 이후 청년예술(인)
# 지역문화 활성화 # 문화 사각지대 해소 # 문화예술 공간 확대 # 예술노동 # 문화도시 # 문화산업 육성·지원 #과학기술-문화예술융합 # 대중문화예술 # 체육계개선·진흥 # 디자인/콘텐츠
# 관광자원 활성화 # 기타
문화본부,
기후환경본부,
관광체육국,
디자인정책관,
시립미술관,
경제정책실,
도시계획국 등
사회
안전망
# 사회복지 서비스 개선 # 기초생활 보장제도 # 복지 # 인구 사각지대 # 코로나 블루 대책 # 청년 부채 경감 # 1인 가구 중심의 복지체계 # 청년마음·신체건강 지원 # 탈가정청년 # 고립청년지원 # 돌봄 # 혼자가 아닌 커뮤니티 및 공동체 # 자립준비청년
# 은둔형 외톨이 # 학자금 지원 제도 # 함께 하는 보육 및 육아 # 청년 빈곤 및 소득감소 # 청년자산형성 지원 # 장애이동권·접근성 강화 # 가정·성·학교폭력 피해자 지원대책 # 2030 자살률 증가 대책 # 다문화 등 소외계층 #영케어러 # 기타
복지정책실, 여성가족정책실, 시민건강국, 평생교육국, 미래청년기획단, 관광체육국 등
일자리/창업
# 코로나19로 인한 실업 # 진로 및 직업교육 # 구직자 지원 방안 # 청년고용 서비스 # 쪼개기 근로계약 # 불법 포괄임금제 # 직장갑질, 직장 내 괴롭힘 등 조직문화 개선 # 노동권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 # 불안정 노동 완화 # 청년 자영업 및 소상공인 지원
# 청년 창업 활성화 # 산업재해 예방 # 공공일자리 # 고용양극화 등 청년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 지역균형발전 # 노동건강권 # 프리랜서 및 특수고용노동자 # 기타
경제정책실, 미래청년기획단, 노동공정
상생정책관,
여성가족정책실 등
주거
# 주거비 부담 완화 # 지·옥·고(반지하,옥탑방,고시원) 등 최저주거기준 미달 # 1인 가구 주거기준 개선 # 월세지원 # 주거비지원
# 청년 주거 커뮤니티 강화 # 청년임대주택 # 주거환경 개선
# 주거급여 # (청년)전세자금대출 제도개선 # 오피스텔 관리비 등 # 임대차 분쟁해소 # 전세사기 # 보증금지키기 # 주거복지
# 우리동네_지역_커뮤니티 # 사회주택 #기타
주택정책실, 미래청년기획단, 여성가족정책실, 도시계획국 등
평등/인권
# 다양성의 보장 # 공동체 내 성/위계 폭력 # 가족구성권 # 인구 # 사회적 차별 # 장애인 권리 보장 # 시민권 # 장애이동권
# 접근성 조성 및 개선 # 다문화 청년 지원 # 디지털 성폭력
# 포괄적 성교육 # 아동, 노인, 여성이 안전한 서울 # 사회적 약자 인식·제도 개선 # 성평등 교육 # 포괄적 차별금지를 위한 제도 마련 # 기타
복지정책실, 여성가족정책실, 노동공정
상생정책관, 인권담당관, 도시교통실 등
□ 연간활동
2023년 서울청정넷 모집
⇒
시정참여
기본 및 심화교육
⇒
위원 위촉 및 발대식
⇒
의제 발굴,
정책제안서 작성
⇒
전문가 정책 자문
및 정책간담회
캠페인 기획
캠페인 개최
2월
3월
4월
5월
6~7월
⇒
부서별의견검토
예산 협의·조정
⇒
청년자율예산
대시민투표
⇒
서울청년
시민회의
(총회)
⇒
정책 모니터링
⇒
사업 결과보고
캠페인 개최
8월
9월
10월
11월
12월
ㅇ 문 의: 서울특별시 미래청년기획단 ☎ 02-2133-4324
▷청정넷 바로가기: https://youth.seoul.go.kr/site/youth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