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최초 ‘종합대책’ 발표 후 557명 지원
서울시가 올해 전국 최초로 발표한 고립·은둔청년 종합지원대책을 통해 지원 받은 청년 557명 중 126명이 자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시는 지난 4월25일 대책 발표 이후 이들이 다시 사회로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고립청년은 물리적·정서적으로 타인과 관계망이 단절됐거나 외로움 등의 이유로 일정 기간 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을, 은둔청년은 집안에서만 지내며 일정 기간 사회와 교류를 차단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이 없는 청년을 가리키는 말이다.
오세훈 서울시장(가운데)이 11일 서울 동대문구에서 열린 ‘청년취업사관학교 동대문 캠퍼스’ 개관식에서 교육생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오 시장은 이어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2023년 서울 고립·은둔청년 성과공유회’에 참석해 고립·은둔청년들과 토크콘서트를 했다. 서울시 제공
시는 사업에 참여한 고립·은둔청년 1119명 중 척도 검사와 초기 상담을 거쳐 유형을 활동형·활동제한형·은둔형으로 분류한 후 557명을 지원했다. 이렇게 지원 받은 참여자들의 고립감이 얼마나 회복됐는지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도 진행했다.
그 결과 청년의 전반적인 고립감은 평균 67.7점에서 52.8점으로 감소했고, 전체적으로 고립 고위험군에서 저위험군으로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시는 설명했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23.4점에서 27.8점, 17.6점에서 21.6점으로 각각 올랐고, 우울감은 23.7점에서 14.5점으로 줄었다고 한다.
시가 제공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에 참여한 후 3개월 이내에 진로 변화나 자립을 경험한 청년은 126명(전체 응답자 310명)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취업 48명, 아르바이트 46명, 진학14명, 교육·자격증 취득 9명, 구직활동 시작 8명, 자영업 1명 등이다.
이날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선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참여자들이 그간의 활동을 돌아보며 서로를 독려하는 ‘2023년 서울 고립·은둔청년 성과공유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도 참석해 고립·은둔청년들과 토크콘서트를 했다.
오 시장은 고립·은둔청년과 부모님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경청했다. 고립탈출을 돕는 ‘매니저’와 은둔청년으로 구성된 리커버리 야구단을 지도하는 이만수 감독도 동석했다. 오 시장은 지난 4월에도 은평구 불광동에 있는 고립청년 활동공간 두더집을 방문한 바 있다.
현장에는 고립·은둔청년이 직접 만든 미술작품·뜨개 인형·도자기 그릇 등과 청년의 활동사진·캠페인을 통해 모은 시민 응원 메시지가 전시됐고, 고립·은둔청년이 직접 준비한 공연도 펼쳐졌다.
시는 올해 사업의 성공사례와 개선 과제를 면밀히 분석해 내년 사업을 양적·질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고립·은둔 청년의 성공적 회복과 자립을 돕고 2∼3년의 장기 관리를 위해 전담센터 구축에 나선다. 전문 민간 위탁을 통한 맞춤형 사례 관리와 사후 관리를 지속해 고립·은둔의 장기화도 방지할 계획이다.
당사자뿐 아니라 부모, 지인 등 고립·은둔청년의 주변 사람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가족 지원 방향과 내용은 내년 중 구체화해 가동할 예정이다. 아울러 찾아가는 지역 거점 상담을 신설해 발굴 체계와 홍보를 강화하는 등 다방면의 처방을 담은 ‘서울형 고립·은둔청년 대책 시즌2’를 선보일 생각이다.
오 시장은 “한 명의 고립·은둔 청년이라도 더 사회와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자립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응원하고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원문 보기 링크 : https://www.segye.com/newsView/20231211519565?OutUrl=naver
전국 최초 ‘종합대책’ 발표 후 557명 지원
서울시가 올해 전국 최초로 발표한 고립·은둔청년 종합지원대책을 통해 지원 받은 청년 557명 중 126명이 자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시는 지난 4월25일 대책 발표 이후 이들이 다시 사회로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고립청년은 물리적·정서적으로 타인과 관계망이 단절됐거나 외로움 등의 이유로 일정 기간 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을, 은둔청년은 집안에서만 지내며 일정 기간 사회와 교류를 차단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이 없는 청년을 가리키는 말이다.
오세훈 서울시장(가운데)이 11일 서울 동대문구에서 열린 ‘청년취업사관학교 동대문 캠퍼스’ 개관식에서 교육생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오 시장은 이어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2023년 서울 고립·은둔청년 성과공유회’에 참석해 고립·은둔청년들과 토크콘서트를 했다. 서울시 제공
시는 사업에 참여한 고립·은둔청년 1119명 중 척도 검사와 초기 상담을 거쳐 유형을 활동형·활동제한형·은둔형으로 분류한 후 557명을 지원했다. 이렇게 지원 받은 참여자들의 고립감이 얼마나 회복됐는지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도 진행했다.
그 결과 청년의 전반적인 고립감은 평균 67.7점에서 52.8점으로 감소했고, 전체적으로 고립 고위험군에서 저위험군으로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시는 설명했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23.4점에서 27.8점, 17.6점에서 21.6점으로 각각 올랐고, 우울감은 23.7점에서 14.5점으로 줄었다고 한다.
시가 제공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에 참여한 후 3개월 이내에 진로 변화나 자립을 경험한 청년은 126명(전체 응답자 310명)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취업 48명, 아르바이트 46명, 진학14명, 교육·자격증 취득 9명, 구직활동 시작 8명, 자영업 1명 등이다.
이날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선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참여자들이 그간의 활동을 돌아보며 서로를 독려하는 ‘2023년 서울 고립·은둔청년 성과공유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도 참석해 고립·은둔청년들과 토크콘서트를 했다.
오 시장은 고립·은둔청년과 부모님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경청했다. 고립탈출을 돕는 ‘매니저’와 은둔청년으로 구성된 리커버리 야구단을 지도하는 이만수 감독도 동석했다. 오 시장은 지난 4월에도 은평구 불광동에 있는 고립청년 활동공간 두더집을 방문한 바 있다.
현장에는 고립·은둔청년이 직접 만든 미술작품·뜨개 인형·도자기 그릇 등과 청년의 활동사진·캠페인을 통해 모은 시민 응원 메시지가 전시됐고, 고립·은둔청년이 직접 준비한 공연도 펼쳐졌다.
시는 올해 사업의 성공사례와 개선 과제를 면밀히 분석해 내년 사업을 양적·질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고립·은둔 청년의 성공적 회복과 자립을 돕고 2∼3년의 장기 관리를 위해 전담센터 구축에 나선다. 전문 민간 위탁을 통한 맞춤형 사례 관리와 사후 관리를 지속해 고립·은둔의 장기화도 방지할 계획이다.
당사자뿐 아니라 부모, 지인 등 고립·은둔청년의 주변 사람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가족 지원 방향과 내용은 내년 중 구체화해 가동할 예정이다. 아울러 찾아가는 지역 거점 상담을 신설해 발굴 체계와 홍보를 강화하는 등 다방면의 처방을 담은 ‘서울형 고립·은둔청년 대책 시즌2’를 선보일 생각이다.
오 시장은 “한 명의 고립·은둔 청년이라도 더 사회와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자립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응원하고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원문 보기 링크 : https://www.segye.com/newsView/20231211519565?OutUrl=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