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더집 통신 


'땅굴 매니저 소통방'을 두더집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서로 공유하는 게시판으로 변경했습니다.

두더집에 관련된 모임, 행사 등등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질문이나 두더지땅굴에 대해 궁금하신 것, 의견, 고민 등등도 가볍게 던져주세요!

두더지땅굴로 알게된 집단상담참여 후기!

탈퇴한 회원
2023-08-22
조회수 1014
나를 알아보는 시간! 진로 집단 상담
일시: 2022. 08. 22. 화 (13:00 ~ 18:00)

주최: 파이 나다운 청년들

은둔에서 나와 막막하고 불안한 시기에 때마침 두더지 땅굴을 통해 알게 된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파이 나다운 청년들>에서 주최한 진로 집단 상담은 은둔과 고립에서 벗어나고 싶은 만 19-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으로, 두더지 땅굴에서 나누면 좋을 듯 하여 참여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이 프로그램 이외에도 캠프, 슬기로운 은둔생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파이 나다운 청년들에서 진행되니 두더지 땅굴 공지사항 혹은 파이 나다운 청년들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회차]

1) 나의 현재 모습 이해하기 - 내가 원하는 소원 10가지 TOP-DOWN 

2) 미래 나의 모습 상상하기 - 미래에 내가 원하는 직업인으로써 첫날 밤의 일기 작성


오늘은 집단상담 1회기가 있는 날!

둘 씩 짝을 지어서 가볍게 인사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름 혹은 별칭, 사는 곳,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 현재 하고 있는 일, 관심있는 분야, 은둔을 하게 된 경위, 은둔 기간 등 15분 간 아이스브레이킹 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져서 낯선 공간에서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이 부담스럽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저는 두더지 땅굴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명을 소개하였고, 교통사고 이후 은둔생활을 시작하게 된 것과 두더집과 두더지땅굴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어떻게 보면 짧기도 하고, 길기도 한 은둔에서 나와 새롭게 인생을 시작하면서 여러 문제들에 봉착했을 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 두더지땅굴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보니 시간이 금새 흘러갔습니다. 


저 이외 다른 참가자분들의 이야기도 들어볼 수 있었는데요. 멀리서 진로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오신 분들도 계셨고, 단순히 진로 뿐만 아니라 은둔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고 싶어 오신 분도 계셨습니다. 비슷한 나이대의 청년들과 진로라는 키워드로 이야기를 나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의미 있었고, 평소에 듣지 못하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나이도, 거주지도, 살아온 인생도 다양했지만 각자 만의 꿈, 각자 만의 취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내 일'을 찾기란 인생 전반에 걸친 공부와 같다

나이도, 사는 곳도, 하는 일도 모두 다르지만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일을 하면서 에너지를 얻는 것은 공통된다는 것을 느끼는 순간이었습니다.


이후, '나의 현재 모습 이해하기'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길을 가고 있다가 발견한 요술램프에서 지니가 등장했습니다.

이때 지니는 10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하는데요.

간절히 원하는 소원을 10가지 적어보세요




저의 답변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크게는 질병, 가족, 정서, 진로, 대인관계로 구분지을 수 있었습니다. 2년 전 교통사고로 인해 아직까지 휴유증을 겪고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건강이 가장 우선순위였습니다. 그리고 저로 인해 고생하고, 걱정하는 가족들의 정서적 경제적 안정, 졸업에 대한 마음, 직업에 대한 열망 등이 그 뒤에 이어졌습니다. 지난 몇 년 간 은둔생활을 이어가며 하고 싶은 일도, 살아야겠다는 열정조차 거의 남아있지 않았었는데 소원을 적어보면서 10가지를 채울 만큼 아직까지 삶에 대한 열정이 남아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스스로도 놀랐습니다. 


다 적으셨나요?
3초 간의 시간을 드릴 테니 10가지 적은 것 들 중에서 2가지를 지워보겠습니다.

(3초)

이제 8개가 남았죠? 다시 3초 간의 시간동안 2가지를 지워주세요.

(3초)

이제 6개 남았나요? 3초 동안 2가지를 지워주세요.

.

.

마지막까지 남은 단 한가지의 소원이 무엇인가요?


집단 상담을 이끌어주시는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10개의 소원들을 차례로 2개씩 지우며 마지막 단 한개의 소원 만을 남기는 특별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단순히 나열한 소원 목록을 지우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치킨과 떡볶이를 고를 때 만큼이나 떨리고, 긴장되고, 혼란스러운 경험을 했습니다. 제가 남긴 단 한가지의 소원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내 경험이 남한테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


역설적이게도, 건강회복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저는 마지막 소원으로는 힘든 시간을 겪는 분들을 돕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돌이켜보면 은둔을 시작하기 전에 저는 삶에 대한 욕심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욕구도 강했고, 성공하고 싶은 욕구, 일을 하고자 하는 욕구, 대인 관계에 대한 욕구도 강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은둔의 시간을 거치면서 열정의 방향성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우연한 계기로 두더지땅굴을 알게 되었고, 이곳에서 저와 같은 경험을 하고 있는 분들과 도움을 주시는 두더지땅굴 직원분들을 통해 그 방향을 발견해나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후에는 돌아가면서 마지막 단 한개의 소원이 무엇인지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다른 분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인생에서 이루고 싶은 가치가 결국에는 끝까지 남는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두 번째 활동은 미래 나의 모습 상상하기였습니다.


내가 원하는 직업인으로써 첫날 밤입니다.

그림을 그리고 싶다면 그림을 그려도 되고,

글 쓰는 게 좋다면 글을 써도 좋습니다.

몇 년도 인지, 몇 월 인지, 계절은 어떤지, 그 날의 나는 무슨 옷을 입었는지, 어떤 향수를 뿌렸는지,

영화감독이 되어서 장면을 찍는다는 느낌으로 일기를 적어볼까요.




저는 2~3년 뒤의 제 모습에 대해 적었습니다. 마치 정말 직장에서 돌아와 일기를 적는 느낌으로 몰입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은둔하는 동안 미래를 그려본 적이 없었습니다. 오로지 과거에 매여있었습니다. 회환과 후회, 절망에 익숙해져있던 지라 희망, 용기, 도전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두려웠는데, 막상 글을 적어내려가다보니 마음 속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희망과 도전에 대한 열망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각자가 적은 그림과 글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 서로의 그림과 글을 보고 들으면서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답해보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휴식의 의미, 자기만의 고유의 강점, 인생의 가치관, 인정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특별했던 점은, 저를 비롯하여 이곳에 모인 분들 중 다시 은둔을 시작할까봐, 예전의 그때로 되돌아갈까봐 불안함을 느끼는 분들이 꽤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불안과 강박을 극복하기 위해서 저희가 나누었던 이야기들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자신 겪은 은둔에 대해 긍정적 관점으로 재정의 해보기 

2) 남들과 같아야 한다는 기준에서 벗어나기

3) 아이돌, 배우 덕질을 하듯이 나를 덕질해보기 (건강/감정일기)

4) 아주 작은, 최소단위의 목표(계획)을 세워 실천해보기

5) 뇌는 단순하기 때문에 작은 행동의 변화로 뇌를 바꿔보기

6) 세상 밖으로 나가기 전 미리 시뮬레이션 해보는 과정으로 상담을 활용해보기


집단 상담을 마치고 나오면서 며칠 전에 두더집에서 들은 미노루 선생님의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다시 은둔을 하게 될까봐 두렵다는 말에 미노루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해주셨는데요.


은둔을 하는 것은 나쁜 게 아니에요.

그리고 만약 은둔하게 된다고 해도요.

제가 은둔에 깊이 빠지게 두지 않을 거에요.

은둔을 하고 있을 때는 세상에 저 홀로 남아있는 기분이 들었었는데, 두더지 땅굴과 파이 상담센터를 통해 도움을 주려고 하는 분들이 곁에 있다는 것을 절감한 날입니다. 


뭔가 정신없이 글을 마무리 하는 것 같네요ㅎㅎ

다음 회기 후기로도 찾아뵙겠습니다. 


8 5

사단법인 씨즈

Tel | 02-355-7910   Fax | +82.2.355.7911   E-mail | dudug@theseeds.asia   URL | https://theseeds.asia

후원계좌 | 신한은행 100-026-478197 (예금주: 사단법인 씨즈)

사업자 등록번호 | 110-82-15053

 

 서울두더집 Tel.02-356-7941  Phone.010-3442-7901 Addr.서울시 은평구 불광로 89-4

 제주두더집 Tel.064-763-0901  Phone.010-5571-7901 Addr.제주시 조천읍 대흘리 1075-25

 

  "두더지땅굴"은 2022년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 2022년 서울시 청년프로젝트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Copyright ⓒ 2022 두더지땅굴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